티스토리 뷰
강원 태백시에서 지난 25일 대형 구렁이 출현이 뒤늦게 알려져 전국적인 화제가 된 가운데 추가 목격자와 사진이 나왔다.
추가 목격자는 구렁이 출현 장소 인근 공사장의 현장 소장 A 씨로 직접 찍은 구렁이 사진을 취재진에게 보내왔다.
A 씨는 지난해 태백 장성광업소에서 석탄을 운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금천교에서 공사를 하던 중 나무를 감고 있는 구렁이를 보고 사진으로 남겼다.
쿠키뉴스가 단독 보도(7월 25일 자)했던 목격자 B 씨의 사진에는 나무와 구렁이만 보였지만 이번에 A 씨가 보내 준 사진에는 ‘태백로’라는 도로명과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등 주변 풍경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추가 목격자와 사진이 나옴에 따라 일부에서 제기됐던 합성 의혹은 해소됐다.
31일 국내 양서파충류의 권위자인 송재영 국립공원공단 연구기획부 부장은 “보통 뱀은 남쪽으로 갈수록 큰 개체가 많다. 구렁이의 경우 평균 1~2m에서 국내환경에선 3~4m까지 자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진으로만 보면 구렁이의 한 종류로 보이고 이론상으로는 최대 4~5m까지도 성장할 가능성은 있다. 실제 3m만 넘어가도 굉장히 큰 경우다”라고 말했다.
실제 구렁이 사진을 찍은 A 씨는 4~5m 정도로 봤고 최초 제보했던 B 씨는 8m라고 봐 크기에 대한 격차가 있다.
또 사진 특성상 촬영 위치 등 구도에 따라 체감하는 크기가 다를 수 있기에 사진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한편 이번에 구렁이가 발견된 태백지역에는 과거에도 거대 뱀에 대한 목격담이 있으며, 뱀과 유사한 이무기와 용에 대한 지명도 많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는 용이 되기 위해 찾아온 이무기 즉 검룡이 살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낙동강 발원지인 황지연못도 이무기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또 소도 당골의 용담과 용소, 태백산 망경사의 용정, 화전 용수골의 용소, 하사미 가리골의 용혈폭포, 통리 용우물, 화광동 용굴 등이 뱀이나 이무기, 용과 관련된 전설로 지어진 지명이다.
뱀 출몰 이유는?
이 같은 상황과 관련하여 생태 전문가들은 "찌는 듯한 더위에 뱀 역시 덥기 때문에 체온을 낮추기 위해 그늘 같은 시원한 곳을 찾아다닌다"라고 뱀 출몰 이유를 설명했다.
변온동물인 뱀은 건조하고 춥거나 습하고 더운 극단적인 기후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 겨울에 동면(冬眠)에 들거나 여름에 하면(夏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폭염이 이어지며 덥고 습한 야생에서 버티지 못한 뱀이 상대적으로 적당한 습도와 기온을 갖춘 도심으로 모여든다는 것이다.
특히 한강변 등 수변 지역에는 사람이 버리고 간 음식물 쓰레기 때문에 설치류가 많고 이를 잡아먹는 뱀에겐 서식이 쉬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소방당국은 "주택가로 서식지를 옮긴 뱀 중엔 독뱀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며 " 도심에서 뱀을 발견하는 즉시 119에 신고를 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당부했다. 또 "뱀에게 물린 경우 깨끗한 물로 해당 부위를 씻어내고 독이 몸으로 퍼지지 못하도록 상처 부위를 압박한 채 빠르게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교육 멈춤의 날' 정보 및 원인 상세 진행 상황 (0) | 2023.09.03 |
---|---|
태풍이 또 올라온다..한꺼번에 3개 북상 (0) | 2023.08.28 |
“담장·벽 금 갔다”…전북 장수군 3.5 지진 피해신고 4건 (0) | 2023.07.31 |
주호민 '특수교사 고발' 논란에 "자폐 아들, 등교 거부…충격" (0) | 2023.07.27 |
[삼성 갤럭시언팩]7월 26일 오늘 드디어 공개!! 플립.폴드5 스펙비교 (0) | 2023.07.26 |